맨위로가기

쌍둥이 소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쌍둥이 소수는 p와 p+2가 모두 소수인 소수 쌍 (p, p+2)을 의미한다. (3, 5)를 제외한 모든 쌍둥이 소수는 (6k-1, 6k+1) 꼴로 표현되며, 2는 유일한 짝수 소수이므로 1만큼 차이가 나는 유일한 소수 쌍이다. 쌍둥이 소수가 무한히 많은지에 대한 쌍둥이 소수 추측은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이며, 하디-리틀우드 추측과 같은 관련 추측과 정리가 존재한다. 브룬의 정리는 쌍둥이 소수의 역수 합이 수렴한다는 것을 보였으며, 알려진 가장 큰 쌍둥이 소수는 2996863034895 × 21290000 ± 1이다. 고립된 소수는 쌍둥이 소수 쌍에 속하지 않는 소수를 의미하며, 브룬의 정리에 따르면 거의 모든 소수는 고립 소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론의 미해결 문제 -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gamma는 조화급수와 자연로그 함수의 차이의 극한으로 정의되는 수학 상수로, 감마 함수, 리만 제타 함수 등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관련되어 있으며 유리수인지 무리수인지 밝혀지지 않은 미해결 문제이다.
  • 수론의 미해결 문제 - 리만 가설
    리만 가설은 리만 제타 함수의 자명하지 않은 모든 영점의 실수부가 1/2이라는 추측으로, 힐베르트 문제와 클레이 수학 연구소의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이며 정수론과 복소해석학을 연결하는 다양한 수학적 명제들과 동치이다.
  • 소수 - 소수 (수론)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무한히 많고 정수론의 기본 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소수 - 디리클레 L-함수
    디리클레 L-함수는 디리클레 지표로 정의되는 복소함수로, 등차수열에 대한 디리클레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리만 제타 함수의 일반화이자 오일러 곱, 함수 방정식 등의 성질을 가지며, 모듈러 형식, 타원 곡선과 관련되어 수론적 L-함수 연구의 핵심이고 암호론, 컴퓨터 과학 등에 응용된다.
  • 수론 - 타원곡선
    타원곡선은 체 위에서 정의되고 특이점이 없으며 종수가 1인 사영 대수 곡선으로, 유리점을 가지며, 특정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실수체 위에서는 연결 성분 개수가 판별식에 따라 달라지며, 복소수체 위에서는 원환면과 위상적으로 동형이고, 점들 간에 군 연산이 정의되어 암호학 및 정수론에 활용된다.
  • 수론 - 최소공배수
    최소공배수는 둘 이상의 정수들의 공배수 중 가장 작은 양의 정수로서, 소인수분해나 최대공약수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분수 통분이나 기어 회전 수 계산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쌍둥이 소수
기본 정보
정의어떤 자연수 n과 n + 2 모두 소수이면 n과 n + 2를 묶어 쌍둥이 소수라고 한다.
예시(3, 5), (5, 7), (11, 13), (17, 19), (29, 31), (41, 43) 등이 있다.
하디-리틀우드 추측쌍둥이 소수 추측이라고도 하며, 쌍둥이 소수가 무한히 많을 것이라는 추측이다.
추측의 근거소수 정리에 따르면 소수의 밀도는 점차 낮아지지만, 쌍둥이 소수는 일정한 빈도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수학적 특성
쌍둥이 소수 사이의 수3을 제외한 모든 쌍둥이 소수 (p, p+2)에 대해 p+1은 6의 배수이다.
브룬 상수쌍둥이 소수의 역수 합은 수렴하며, 그 값은 브룬 상수 B ≈ 1.902160583104이다.
쌍둥이 소수 판별법자연수 m이 1보다 클 때, (6m − 1, 6m + 1)이 쌍둥이 소수일 필요충분조건은 ((m − 1)! mod (6m + 1)) ∈ {m, 6m}이다.
미해결 문제
쌍둥이 소수 개수쌍둥이 소수가 무한히 많은지 여부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

2. 쌍둥이 소수의 정의 및 표현

쌍둥이 소수는 2만큼 차이가 나는 두 소수의 쌍으로, (p, p+2) 형태로 표현된다.[3] (3, 5)를 제외한 모든 쌍둥이 소수는 (6k-1, 6k+1) 꼴로 표현 가능하다(k는 양의 정수).[4]

처음 몇 개의 쌍둥이 소수 쌍은 다음과 같다.

: (3, 5), (5, 7), (11, 13), (17, 19), (29, 31), (41, 43), (59, 61), (71, 73), (101, 103), (107, 109), (137, 139) ...

5는 두 쌍에 속하는 유일한 소수이며, (3, 5)보다 큰 모든 쌍둥이 소수 쌍은 어떤 자연수 n에 대해 (6n-1, 6n+1) 형태를 갖는다.[4]

2. 1. 증명

모든 자연수는 6k+1, 6k+2, 6k+3, 6k+4, 6k+5, 6k+6 (k는 음이 아닌 정수) 중 하나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6k+2, 6k+3, 6k+4, 6k+6 형태는 소수가 아니므로, 모든 소수는 6k+1 또는 6k+5 형태이다.[22] 6k+5 형태의 소수에 2를 더하면 6k+7 = 6(k+1)+1이 되므로, (6k+5, 6k+1) 형태가 쌍둥이 소수 쌍이 된다. 6k+5 = 6(k+1)-1이므로, 모든 쌍둥이 소수는 (6k-1, 6k+1) 형태이다. (3, 5)는 3이 6k+3 형태의 소수이기 때문에 유일한 반례이다.

3. 쌍둥이 소수 목록

(3, 5), (5, 7), (11, 13), (17, 19), (29, 31), (41, 43) 등과 같이 작은 수에서 쌍둥이 소수가 발견된다.[3] (2, 3)은 2가 유일한 짝수 소수이므로 쌍둥이 소수로 간주되지 않는다. 이 쌍은 1만큼 차이가 나는 유일한 소수 쌍이다. 따라서 쌍둥이 소수는 다른 두 소수에 비해 가능한 가장 가깝게 간격을 둔다.

5는 두 쌍에 속하는 유일한 소수이며, (3, 5)보다 큰 모든 쌍둥이 소수 쌍은 어떤 자연수 n에 대해 (6n-1, 6n+1) 형태를 갖는다. 즉, 두 소수 사이의 숫자는 6의 배수이다.[4] 결과적으로 (3과 5를 제외한) 쌍둥이 소수 쌍의 합은 12로 나누어 떨어진다.

3. 1. 작은 쌍둥이 소수 목록 (74쌍)

(3, 5)(5, 7)(11, 13)(17, 19)(29, 31)(41, 43)(59, 61)(71, 73)
(101, 103)(107, 109)(137, 139)(149, 151)(179, 181)(191, 193)(197, 199)(227, 229)
(239, 241)(269, 271)(281, 283)(311, 313)(347, 349)(419, 421)(431, 433)(461, 463)
(521, 523)(569, 571)(599, 601)(617, 619)(641, 643)(659, 661)(809, 811)(821, 823)
(827, 829)(857, 859)(881, 883)(1019, 1021)(1031, 1033)(1049, 1051)(1061, 1063)(1091, 1093)
(1151, 1153)(1229, 1231)(1277, 1279)(1289, 1291)(1301, 1303)(1319, 1321)(1427, 1429)(1451, 1453)
(1481, 1483)(1487, 1489)(1607, 1609)(1619, 1621)(1667, 1669)(1697, 1699)(1721, 1723)(1787, 1789)
(1871, 1873)(1877, 1879)(1931, 1933)(1949, 1951)(1997, 1999)(2027, 2029)(2081, 2083)(2087, 2089)
(2111, 2113)(2129, 2131)(2141, 2143)(2237, 2239)(2267, 2269)(2309, 2311)(2339, 2341)(2381, 2383)
(2549, 2551)


4. 쌍둥이 소수 추측

쌍둥이 소수가 무한히 존재하는지에 대한 질문은 오랫동안 풀리지 않은 문제였다. 이는 가 소수인 소수 가 무한히 많다는 것을 의미하는 '쌍둥이 소수 추측'의 내용이다. 1849년 알퐁스 드 폴리냑은 모든 자연수 에 대해 도 소수인 소수 가 무한히 많다는 더 일반적인 추측을 제시했다.[8] 드 폴리냑 추측에서 = 1인 경우가 쌍둥이 소수 추측이다.

하디-리틀우드 추측(아래 참조)은 쌍둥이 소수 추측의 더 강력한 형태이며, 소수 정리와 유사한 쌍둥이 소수의 분포 법칙을 가정한다.

2013년 4월 17일, 장이탕은 7천만 미만의 정수 이 존재하며, 의 차이가 나는 소수 쌍이 무한히 많다는 것을 증명했다.[9] 장의 논문은 2013년 5월 초에 게재되었다.[10] 테렌스 타오는 장의 경계를 최적화하기 위한 Polymath Project 협력 노력을 제안했다.[11]

장이 발표한 지 1년 후, 경계는 246으로 줄어들었다.[12] 이러한 개선은 장의 접근 방식보다 간단하고 제임스 메이너드(수학자)와 테렌스 타오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견된 다른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이 두 번째 접근 방식은 또한 무한히 많은 폭 간격이 최소 개의 소수를 포함하도록 보장하는 데 필요한 가장 작은 에 대한 경계를 제공했다. 엘리엇-할버스탐 추측과 그 일반화된 형태를 가정하면, Polymath Project 위키는 경계가 각각 12와 6이라고 명시한다.[12]

1849년 폴리냑의 추측은 모든 양의 짝수 에 대해, (즉, 크기가 인 소수 간격이 무한히 많다)를 만족하는 연속하는 소수 쌍 와 가 무한히 많다는 것이다. 인 경우는 쌍둥이 소수 추측이다. 이 추측은 아직 의 특정 값에 대해 증명되거나 반증되지 않았지만, 장이탕의 결과는 이 추측이 적어도 하나의 (현재 알려지지 않은) 값에 대해 참임을 증명한다.[8]

쌍둥이 소수 추측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알려져 있었다는 기술도 일부 문헌에서 보이지만, 확증은 얻어지지 않았다. 드 폴리냑은 쌍둥이 소수 추측을 일반화하여 임의의 짝수를 차로 하는 소수 쌍이 무한히 있는가 하는 문제를 제시했다.

골드바흐 추측의 강화는, 증명된다면, 무한히 많은 쌍둥이 소수가 있다는 것을 증명할 것이다. 이 문제는 특히 두 소수의 경우의 골드바흐의 추측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체 방법 등의 연구자에 의해 쌍방의 연구가 동시에 진행되어 왔다.

4. 1. 하디-리틀우드 추측

G. H. Hardy영어와 John Littlewood|존 리틀우드영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제1 하디-리틀우드 추측은 쌍둥이 소수 추측의 일반화이다. 이는 소수 분포 정리와 유사하게 쌍둥이 소수를 포함한 소수 군의 분포와 관련이 있다. 또한 소수인 소수 의 개수를 로 정의한다. ''쌍둥이 소수 상수''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7]

:

C_2 = \prod_{\textstyle{p \; \mathrm{prime,}\atop p \ge 3}} \left(1 - \frac{1}{(p-1)^2} \right) \approx 0.66016 18158 46869 57392 78121 10014 \ldots .



(여기서 곱은 모든 소수 에 걸쳐 있다.) 그러면 제1 하디-리틀우드 추측의 특별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

\pi_2(x) \sim 2 C_2 \frac{x}{(\ln x)^2} \sim 2 C_2 \int_2^x {\mathrm{d} t \over (\ln t)^2}



두 표현의 몫이 가 무한대로 갈 때 1로 수렴한다는 의미에서이다.[6] (두 번째 ~는 추측의 일부가 아니며 부분 적분으로 증명된다.)

가 소수 분포의 밀도 함수를 설명한다고 가정함으로써 추측을 정당화(하지만 증명하지는 못함)할 수 있다. 소수 정리에 의해 제시된 이 가정은 위의 공식에서 보여지듯이 쌍둥이 소수 추측을 암시한다.

소수 -묶음에 대한 완전 일반적인 제1 하디-리틀우드 추측(여기서는 제공되지 않음)은 ''제2'' 하디-리틀우드 추측이 거짓임을 의미한다.

이 추측은 딕슨 추측에 의해 확장되었다.

이하의 쌍둥이 소수 쌍의 수는 점근적으로

:2C\frac{x}{(\log x)^2} 혹은 2C\int_2^x \frac{dx}{(\log x)^2}

로 주어진다. 후자의 적분에 의한 표시가 더 좋은 근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수 는 다음과 같은 무한곱으로 정의된다.

:C=\prod_{p>2} \left\{ 1-\frac{1}{(p-1)^2} \right\} =0.6601\cdots

이 상수 는 "하디-리틀우드 상수" 중 하나이다.

5. 쌍둥이 소수 상수

쌍둥이 소수 상수고드프리 해럴드 하디존 이든저 리틀우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하디-리틀우드 추측에 등장하는 상수이다. 이 상수는 소수 정리와 유사하게 쌍둥이 소수를 포함한 소수 자리의 분포에 대한 것이다. 쌍둥이 소수 상수 C_2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7]

:C_2 = \prod_{\textstyle{p \; \mathrm{prime,}\atop p \ge 3}} \left(1 - \frac{1}{(p-1)^2} \right) \approx 0.66016 18158 46869 57392 78121 10014 \ldots .

여기서 곱은 모든 소수 p \ge 3에 걸쳐 있다.

하디-리틀우드 추측에 따르면, x 이하의 쌍둥이 소수 쌍의 수는 점근적으로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2C_2\frac{x}{(\log x)^2} 또는 2C_2\int_2^x \frac{dx}{(\log x)^2}

여기서 상수 C_2는 "하디-리틀우드 상수" 중 하나이며, 위에서 정의된 값과 같다.

6. 알려진 가장 큰 쌍둥이 소수

2016년 9월,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인 쌍둥이 소수 탐색과 프라임그리드를 통해 당시까지 발견된 가장 큰 쌍둥이 소수인 2996863034895×21290000±1영어가 발견되었다. 이 쌍둥이 소수는 십진법으로 388,342자리이며, 발견자는 미국의 Timothy D. Winslow이다.[18][19]

6. 1. 발견 역사

2016년 9월,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인 쌍둥이 소수 탐색과 프라임그리드는 당시까지 발견된 가장 큰 쌍둥이 소수인 2996863034895×21290000±1영어를 발견했다. 이 쌍둥이 소수는 십진법으로 388,342자리였다. 발견자는 미국의 Timothy D. Winslow이다.[18][19]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쌍둥이 소수 (일부)
#자릿수쌍둥이 소수발견일
1388,3422996863034895×21290000±1영어2016년 9월
2200,7003756801695685×2666669±1영어2011년 12월
3100,35565516468355 × 2333333±1영어2009년 8월
458,7112003663613 × 2195000±1영어2007년 1월
551,780194772106074315 × 2171960±1영어2007년 6월
651,780100314512544015 × 2171960±1영어2006년 6월
751,77916869987339975 × 2171960±1영어2005년 9월
851,09033218925 × 2169690±1영어2002년 9월
934,808307259241 × 2115599±1영어2009년 1월
1034,53360194061 × 2114689±1영어2002년 11월
1133,222108615 × 2110342±1영어2008년 6월


7. 브룬의 정리

비고 브룬은 1915년에 쌍둥이 소수의 역수의 합이 수렴한다는 것을 보였다.[5] 이 결과는 브룬의 정리라고 불리며, 브룬 체를 처음으로 사용한 것이었고 현대 체 이론의 발전에 기여했다.

보다 작은 쌍둥이 소수의 개수는 최대 O\left( x/( \log x)^2 \right)이다. 따라서, 와 가 모두 소수인 경우, 다음 식은 수렴한다.

:B_2 =\sum_p \left( \frac{1}{p} +\frac{1}{p+2} \right) (쌍둥이 소수의 역수합)

이 값을 브룬 상수()라고 하며, 약 1.90 정도이다. 소수의 역수 합은 발산하므로, 소수 중에서 쌍둥이 소수는 많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브룬 상수 의 2005년 시점에서의 가장 정확한 값은 이다. 이 값은 까지 나타나는 쌍둥이 소수를 사용하여 구했다.[23]

1994년에 브룬 상수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P54C 펜티엄부동 소수점 연산 명령에 버그가 존재함이 발견되어 화제가 되었다.

8. 기타 성질

5는 두 쌍둥이 소수 쌍에 모두 속하는 유일한 소수이다.[3] (3, 5)를 제외한 쌍둥이 소수 쌍의 합은 12로 나누어 떨어진다.[4]

모든 세 번째 홀수는 3으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연속하는 세 개의 홀수가 모두 소수이려면 그 중 하나가 3이어야 한다. 따라서 5는 두 쌍둥이 소수 쌍에 모두 포함되는 유일한 소수이다.[3] 쌍의 작은 수는 정의상 첸 소수이다.

만약 ''m'' − 4 또는 ''m'' + 6도 소수이면, 세 소수는 소수 삼중항이라고 불린다.

(''m'', ''m'' + 2) 쌍이 쌍둥이 소수인 조건은 다음과 같다.[22]

:4((m-1)! + 1) \equiv -m \pmod {m(m+2)}.

어떤 자연수 ''n'' > 1에 대해 (6''n'' − 1, 6''n'' + 1) 형태의 쌍둥이 소수 쌍에서, ''n''은 숫자 0, 2, 3, 5, 7 또는 8로 끝나야 한다. 만약 ''n''이 1 또는 6으로 끝난다면, 6''n''은 6으로 끝나고, 6''n'' −1은 5의 배수가 되므로 ''n'' = 1이 아니면 소수가 아니다. 마찬가지로, 만약 ''n''이 4 또는 9로 끝난다면, 6''n''은 4로 끝나고, 6''n'' +1은 5의 배수가 된다.

(3, 5)를 제외한 모든 쌍둥이 소수는 (6''n'' − 1, 6''n'' + 1) (''n''은 특정 자연수) 형태이며, 이는 (3, 5)를 제외한 쌍둥이 소수끼리의 합이 항상 12의 배수임을 의미한다.

처음 2쌍을 제외하고, 쌍둥이 소수의 일의 자리는 (십진법에서) (1, 3), (7, 9), (9, 1) 중 하나이다.

''x''보다 작은 쌍둥이 소수의 개수는 최대 O\left( x/( \log x)^2 \right)이다.

''p'' + 2가 최대 2개의 소수의 곱이 되는 소수 ''p''를 천 소수로 정의했을 때, 무한 개의 천 소수의 3항 등차 수열이 존재한다.

(''n'', ''n'' + 2)가 쌍둥이 소수이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은 4{(''n'' − 1)! + 1} + ''n'' \equiv 0 (mod ''n''(''n'' + 2))이다.

9. 관련 추측 및 정리

쌍둥이 소수가 무수히 존재하는가 하는 문제는 아직 수학의 미해결 문제이다. 소수가 무수히 존재한다는 것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알려져 있었고, 유클리드의 『원론』에 그 증명이 나와있다.

하디-리틀우드 추측에서는 쌍둥이 소수 쌍의 수에 대한 점근적인 분포 공식을 예상하고 있다. 이하의 쌍둥이 소수 쌍의 수는 점근적으로

:2C\frac{x}{(\log x)^2} 또는 2C\int_2^x \frac{dx}{(\log x)^2}로 주어진다. 여기서 상수 C는 "하디-리틀우드 상수"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무한곱으로 정의된다.

:C=\prod_{p>2} \left\{ 1-\frac{1}{(p-1)^2} \right\} =0.6601\cdots

이 문제는 두 소수의 경우의 골드바흐의 추측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체 방법 등을 통해 두 추측에 대한 연구가 동시에 진행되어 왔다.


  • (3, 5)를 제외한 모든 쌍둥이 소수는 (6n - 1, 6n + 1) (n은 특정 자연수) 형태이다. 이는 (3, 5)를 제외한 쌍둥이 소수끼리의 합이 항상 12의 배수임을 의미한다.
  • 처음 2쌍을 제외하고, 쌍둥이 소수의 일의 자리는 (십진법에서) (1, 3), (7, 9), (9, 1) 중 하나이다.
  • x보다 작은 쌍둥이 소수의 개수는 최대 O\left( x/( \log x)^2 \right)이다. 따라서, pp + 2가 모두 소수인 경우, 다음 식은 수렴한다.
  • :B_2 =\sum_p \left( \frac{1}{p} +\frac{1}{p+2} \right) (쌍둥이 소수의 역수합)


이 값을 브룬 상수(약 1.90)라고 부른다. 소수의 역수 합은 발산하므로, 소수 중에서 쌍둥이 소수는 많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비고 브룬은 모든 짝수가 최대 9개의 소수의 곱으로 표시되는 두 정수의 차이로 무한히 표현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는 체 방법을 이용한 첫 번째 본격적인 성과였으며, 쌍둥이 소수에 관한 첫 이론적인 결과이자 연구의 출발점이 되었다.

브룬 상수의 2005년 기준 가장 정확한 값은 1.902160583104…이다. 이 값은 10^{16}까지 나타나는 쌍둥이 소수를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1994년 브룬 상수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펜티엄 P54C의 부동 소수점 연산 명령 버그가 발견되기도 했다.

천징룬p + 2가 최대 2개의 소수의 곱으로 표현되는 소수 p가 무수히 존재함을 증명했다. p + 2가 최대 2개의 소수의 곱이 되는 소수 p를 천 소수로 정의했을 때, 무한 개의 천 소수의 3항 등차 수열이 존재한다.

(n, n + 2)가 쌍둥이 소수이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은 4{(n - 1)! + 1} + n \equiv 0 (mod n(n + 2))이다.

2005년, D. 골드스톤(D. Goldston)-J. 핀츠(J. Pintz)-C. 일디림(C. Yildirim)은 다음 식을 증명했다.

:\liminf_{n\to \infty} \frac{p_{n+1} -p_n}{\log p_n} =0.

9. 1. 폴리냑 추측

1849년 폴리냑은 모든 양의 짝수 $k$에 대해, $p'-p=k$ (즉, 크기가 $k$인 소수 간격이 무한히 많다)를 만족하는 연속하는 소수 쌍 $p$와 $p'$가 무한히 많다는 추측을 제시했다.[8] $k=2$인 경우는 '''쌍둥이 소수 추측'''이다. 이 추측은 아직 $k$의 특정 값에 대해 증명되거나 반증되지 않았지만, 장이청의 결과는 이 추측이 적어도 하나의 (현재 알려지지 않은) $k$ 값에 대해 참임을 증명한다.[8]

A. de Polignac(1849)는 쌍둥이 소수 추측을 일반화하여, 임의의 짝수를 차로 하는 소수 쌍이 무수히 있는가라는 문제를 제시했다.

9. 2. 엘리엇-할버스탐 추측

2004년 5월, 리처드 아렌스토프(Richard Arenstorf)는 "쌍둥이 소수가 무수히 존재함의 증명"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제출하여 하디-리틀우드 추측이 옳다고 주장했지만,[23] 내용에 중대한 오류가 있어 저자 자신에 의해 철회되었다.

9. 3. 장이탕의 정리

2013년 장이탕은 7천만 이하의 간격을 가지는 소수쌍이 무한히 존재함을 증명하였다.[9] 그의 논문은 2013년 5월 초에 게재되었다.[10]

이후 제임스 메이너드(수학자)와 테렌스 타오는 장이탕의 접근 방식보다 더 간단한 방법을 사용하여 이 경계를 246으로 줄였다.[12]

9. 4. 메이너드와 타오의 정리

2013년, 제임스 메이너드와 테렌스 타오는 각각 독립적으로, 소수를 m개 포함하는 연속적인 정수의 구간이 무수히 존재하는 조건을 해명했다. 구간의 폭은 m에 의존하는데, 예를 들어 m=2인 경우, 연속적인 정수를 마다 구간을 나누면 소수가 2개 포함되는 경우가 무수히 있으며,[27] m=3으로 하면, 소수를 3개 포함하고 39만 5122의 폭을 가진 구간이 무수히 존재한다. 이는 장이탕의 "7천만 간격"을 대폭 줄인 성과이다.[28][29][30] 메이너드는 이 발견을 포함한 업적으로 2022년 필즈상을 수상했다.[31]

10. 고립된 소수

''p'' - 2와 ''p'' + 2가 모두 소수가 아닌 소수 ''p''를 '''고립 소수'''(또는 '''단독 소수''' 또는 '''비 쌍둥이 소수''')라고 한다. 즉, ''p''는 쌍둥이 소수 쌍에 속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23은 21과 25가 모두 합성수이므로 고립 소수이다.

처음 몇 개의 고립 소수는 다음과 같다.

2, 23, 37, 47, 53, 67, 79, 83, 89, 97, ...

브룬의 정리에 따르면, 거의 모든 소수는 고립 소수이며, 이는 주어진 임계값 ''n''보다 작은 고립 소수의 수와 ''n''보다 작은 모든 소수의 수의 비율이 ''n''이 무한대로 갈 때 1로 수렴한다는 의미이다.

참조

[1] 간행물 Yitang Zhang's spectacular mathematical journey https://www.ias.edu/[...]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Summer 2014
[2] AV media Small and large gaps between the primes https://www.youtube.[...] UCLA Department of Mathematics 2014-10-07
[3] 웹사이트 The first 100,000 twin primes (only first member of pair) https://primes.utm.e[...] University of Tennessee, Martin
[4] 웹사이트 Are all primes (past 2 and 3) of the forms {{math|6''n''+1}} and {{math|6''n''−1}}? https://primes.utm.e[...] University of Tennessee, Martin 2018-09-27
[5] 논문 Über das Goldbachsche Gesetz und die Anzahl der Primzahlpaare
[6] 서적 Analytic Number Theory World Scientific
[7] 서적 Sieve Methods Dover Publications
[8] 논문 Recherches nouvelles sur les nombres premiers https://babel.hathit[...]
[9] 뉴스 First proof that infinitely many prime numbers come in pairs http://www.nature.co[...] 2013-05-14
[10] 논문 Bounded gaps between primes
[11] 웹사이트 Polymath proposal: Bounded gaps between primes http://polymathproje[...] 2013-06-04
[12] 웹사이트 Bounded gaps between primes http://michaelnielse[...] 2014-03-27
[13] 논문 Small gaps between primes exist http://projecteuclid[...]
[14] 논문 Small gaps between primes or almost primes
[15] 논문 Small gaps between primes
[16] 논문 Variants of the Selberg sieve, and bounded intervals containing many primes
[17] OEIS 2019-11-01
[18] 웹사이트 2996863034895 × 2{{sup|1290000}} − 1 http://primes.utm.ed[...] UT Martin
[19] 뉴스 World record twin primes found! http://www.primegrid[...] 2016-09-20
[20] OEIS 2019-11-01
[21] 웹사이트 Tables of values of {{math|''π''(''x'')}} and of {{math|''π''{{sub|2}}(''x'')}} http://www.ieeta.pt/[...] Aveiro University 2011-01-07
[22] 논문 Congruences for sets of primes http://www.math.ston[...] 1949-01
[23] 문서 Proof of Infinitely many Twin Primes http://arxiv.org/abs[...]
[24] 웹사이트 The Prime Database: 2996863034895*2^1290000-1 https://primes.utm.e[...]
[25] 웹사이트 Bounded gaps between primes http://annals.math.p[...]
[26] citation The prime tuples conjecture, sieve theory, and the work of Goldston-Pintz-Yildirim, Motohashi-Pintz, and Zhang https://terrytao.wor[...] 2013-06-03
[27] 문서 別の表現をすると「素数が2個含まれる連続した {{math|600}} の整数の組の最大値は存在しない」
[28] 뉴스 素数の間隔で新定理発見 極端な偏りなく分布、米英数学者 https://www.chibanip[...] 千葉日報オンライン 2014-02-26
[29] 뉴스 素数の新定理発見 極端な偏りなく分布 米英数学者「夢のような成果」 http://www.sponichi.[...] 2014-02-26
[30] 뉴스 素数の間隔で新定理発見 極端な偏りなく分布、米英数学者 http://www.47news.jp[...] 2014-02-26
[31] citation Fields Medals 2022 https://www.mathunio[...] 국제수학연합 2022-07-05
[32] citation Prime Gap Grows After Decades-Long Lull https://www.quantama[...] QUANTA magazine 2014-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